티벳에서의 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트에서의 7년은 1997년 개봉한 영화로, 오스트리아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가 1939년 티베트로 들어가 14대 달라이 라마와 우정을 쌓는 이야기를 그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로 수용소에서 탈출한 하러는 티베트의 수도 라사에 정착하여 달라이 라마의 가정교사가 된다. 중국의 티베트 침공과 정치적 갈등 속에서 하러는 조국으로 돌아가 아들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영화는 중국 정부의 반발을 사서 중국 내 상영이 금지되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전쟁 영화 - 그린 존 (영화)
《그린 존》은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대량살상무기(WMD)를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 준위 로이 밀러와 그의 팀이 CIA 요원, 기자와 협력하여 정치적 음모와 정부의 거짓말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영국의 전쟁 영화 - K-19: 위도우메이커
《K-19: 위도우메이커》는 1961년 소련 핵잠수함 K-19에서 발생한 실제 사고를 바탕으로 제작된 2002년 미국 잠수함 영화로, 원자로 사고를 막기 위한 함장과 승무원들의 사투를 그리며 역사 왜곡 논란과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존 윌리엄스 영화 음악 - A.I.
A.I.는 스탠리 큐브릭이 구상하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한 2001년 SF 영화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자원 고갈을 배경으로 인간의 사랑을 갈망하는 소년형 로봇 데이비드의 이야기를 다룬다. - 존 윌리엄스 영화 음악 - 쉰들러 리스트
《쉰들러 리스트》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한 1993년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스카 쉰들러가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들을 구출한 실화를 흑백 화면으로 생생하게 묘사하며, 인간의 선과 악,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다룬다. - 영국의 모험 영화 - 아프리카의 여왕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아프리카의 여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이 독일 군함 공격을 위해 급류를 항해하며 사랑에 빠지는 모험 로맨스 영화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고전 영화로 평가받는다. - 영국의 모험 영화 - 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
《나니아 연대기: 새벽 출정호의 항해》는 C. S. 루이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에드먼드와 루시 남매, 사촌 유스티스가 그림 속 바다를 통해 나니아로 건너가 실종된 영주들을 찾고 악의 세력에 맞서 싸우며, 캐스피언 왕과 함께 신비로운 섬들을 탐험하며 시련과 성장을 겪는 2010년 판타지 모험 영화이다.
티벳에서의 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Seven Years in Tibet |
감독 | 장자크 아노 |
제작 | 장자크 아노, 이안 스미스, 존 H. 윌리엄스 |
각본 | 베키 존스턴 |
원작 | 하인리히 하러의 티베트에서의 7년 |
출연 | 브래드 피트, 데이비드 듈리스, BD 웡, 마코, 자미앙 잠초 왕축, 락파 참초에, 제선 페마 |
음악 | 존 윌리엄스 |
촬영 | 로베르 프레즈 |
편집 | 노엘 부아송 |
제작사 | 트라이스타 픽처스, 만달레이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소니 픽처스 릴리징(일부 지역), 서밋 엔터테인먼트(해외) |
개봉일 | 1997년 9월 13일 (토론토 국제 영화제), 1997년 10월 10일 (미국), 1997년 12월 13일 (일본) |
상영 시간 | 136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독일어, 네팔어, 힌디어, 중국어, 티베트어 |
제작비 | 7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1억 3150만 달러 |
일본 정보 | |
일본어 제목 | セブン・イヤーズ・イン・チベット |
배급 | 쇼치쿠 후지, 일본 헤럴드 영화 |
일본 흥행 수입 | 15억 5천만 엔 |
2. 줄거리
1939년 가을, 오스트리아의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는 독선적인 성격 탓에 임신한 아내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나치 독일의 등산대에 합류하여 히말라야 산맥의 낭가파르바트 등반에 나선다.[1][2]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영국령 인도(현재 파키스탄)에서 피터 아우프슈나이터와 함께 적국인으로 영국 당국에 체포된다.[1] 그들은 현재 인도 우타라칸드 주 데라둔에 위치한 포로 수용소에 수감된다.[1] 수용소 생활 중, 하러는 오스트리아에 남겨진 아내 잉리드로부터 이혼 통보와 아들을 데리고 재혼한다는 편지를 받는다.[1][2]
이 영화는 실제 역사 및 원작인 하인리히 하러의 책과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1944년, 여러 번의 시도 끝에 하러는 아우프슈나이터와 함께 수용소 탈출에 성공하여 티베트로 향한다.[1][2] 외부 세계와 단절된 티베트에서 처음에는 경계 속에 거부당했지만, 그들은 결국 변장을 하고 티베트의 수도 라사에 도착한다.[1] 그곳에서 티베트 외교관 쿵고 차총의 도움으로 머물 곳을 얻고, 고위 관료인 응아포 응왕 지그메와도 교류하며 점차 티베트 사회에 발을 들인다.[1] 아우프슈나이터는 티베트 여성 재단사 페마 라키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하러는 과거의 실패한 관계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일(토지 측량)에 몰두하며 독신으로 지낸다.[1]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소식을 듣고 하러는 오스트리아로 돌아갈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한 번도 본 적 없는 아들 롤프가 자신을 아버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차가운 편지를 보내오자, 그는 티베트를 떠나지 못하게 된다.[1] 얼마 지나지 않아 하러는 포탈라 궁으로 초청받아, 어린 14대 달라이 라마에게 지리, 과학, 서양 문화 등을 가르치는 가정교사가 된다.[1] 호기심 많고 총명한 소년 달라이 라마와 하러는 스승과 제자를 넘어 깊은 우정을 나누는 사이가 된다.[1][2] 하러는 순수한 티베트 사람들과 달라이 라마와의 교감을 통해 점차 자신의 독선적인 성격을 버리고 협동심을 배워나간다.[2]
평화로운 시간도 잠시, 1950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의 중국 인민해방군이 티베트를 침공한다.[1][2] 티베트군은 국경 도시 창두에서 저항을 시도하지만, 응아포 응왕 지그메가 이끄는 군대는 중국군의 압도적인 군사력 앞에 결국 항복하고 일방적인 전투 이후 무기고를 폭파한다.[1] 쿵고 차총은 만약 응왕 지그메가 무기를 파괴하지 않았다면 티베트 게릴라들이 산악 지대에서 더 오래 버티며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할 시간을 벌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안타까워한다.[1] 하러는 응왕 지그메가 조국을 배신했다고 강하게 비난하며 그와의 우정을 끝내고, 그가 선물했던 서양식 정장을 돌려주며 모욕을 준다.[1]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이 진행되자 하러는 달라이 라마에게 망명을 권유하지만, 어린 지도자는 위험 속에서도 자신의 백성을 버릴 수 없다며 티베트에 남기로 결심한다. 대신 달라이 라마는 하러에게 오스트리아로 돌아가 아들 롤프의 아버지가 되어주라고 격려한다.[1] 대관식을 통해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의 정신적, 세속적 지도자로 공식 즉위하는 것을 지켜본 후, 하러는 7년간 정들었던 티베트를 떠나 1951년 오스트리아로 돌아온다.[1][2]
귀국 후, 하러는 아들 롤프와 재회한다. 처음에는 어색하고 서먹했지만, 하러가 달라이 라마에게 선물 받은 오르골을 계기로 점차 가까워진다.[1] 시간이 흘러 십 대가 된 롤프와 함께 등반하는 하러의 모습은 그들이 마침내 부자 관계를 회복했음을 보여준다.[1][2]
3. 등장인물
영화 초반, 1938년 아이거 북벽 등반 후 하러는 "독일 영웅"으로 칭송받지만 "고맙습니다, 하지만 저는 오스트리아인입니다."라고 답한다. 이는 오스트리아가 1938년 안슐루스로 독일에 병합된 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대담한 발언으로 묘사된다.[6] 그러나 원작에서 하러는 이러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또한 영화 속 기차역 장면에서 하러는 나치당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며 마지못해 나치 깃발을 드는 것으로 그려지지만, 실제 하인리히 하러는 나치 친위대(SS) 하사관이었으며, 1938년 자신의 저서에서 등반 성공을 "우리는 아이거 북벽을 넘어 정상에 올라 우리의 총통에게 이르렀다."라고 진술했다.[7][8]
영화는 하러와 그의 아들 간의 관계를 중요한 주제로 다루지만, 원작에서 하러는 아내나 아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실제로 그는 결혼과 이혼을 경험했지만, 영화에서 묘사된 것과 달리 전 부인의 새 남편은 전쟁 중 사망했고, 아들은 외할머니 손에 자랐다.[9] 하러는 자서전에서 아들과의 관계를 상세히 기술했으나 영화의 내용을 뒷받침하지는 않는다. 원작에서 그는 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자신을 고국과 묶어두는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10]
영화에는 중국 공산당 협상단이 티베트를 방문하여 모래 만다라를 훼손하고 "종교는 독이다"라고 발언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이는 원작이나 역사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티베트 불교 사원과 경전 파괴는 주로 문화 대혁명(1966-1976) 시기에 발생했다.
또한, 영화와 달리 라싸에는 라싸 쿵가 공항이 건설된 1956년 이전까지 항공 교통이 없었다. 1954년 14대 달라이 라마가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는 도로를 이용했다.[11]
중국과의 협상 및 달라이 라마의 통치권 이양 순서도 영화에서는 실제와 다르게 묘사되었다. 14대 달라이 라마는 1950년 11월 17일에 티베트의 세속 지도자로 즉위했는데, 이는 1950년 10월 중국군이 창두 전투에서 티베트 군대를 격파하고 티베트 평화적 해방을 위한 17개 조항 협정 체결을 위해 티베트 대표단이 베이징으로 파견된 이후의 일이다.[12] 한편, 달라이 라마는 이 협정을 싫어했다. 그는 라싸를 떠나 인도와 시킴 국경에서 망명했다. 달라이 라마는 라싸로 돌아와 수년 동안 그 조항 내에서 활동하려고 노력했다.[10]
'''일본어 더빙'''배역 배우 일본어 더빙 소프트판 후지 TV판 기내 상영판 하인리히 하러 브래드 피트 야마데라 코이치 호리우치 켄유 히라타 히로아키 페터 아우프슈나이터 데이비드 슐리스 오가와 신지 오오츠카 아키오 응가푸 응가왕 지크메 B.D. 웡 호리우치 켄유 오오츠카 요시타다 치바 잇신 쿵고 차롱 마코 이와마츠 코야마 타케히로 오가타 켄이치 니시무라 토모미치 섭정 대니 덴존파 사이토 시로 야라 유우사쿠 이케다 마사루 중국 대표 빅터 웡 후지모토 조 호우키 카츠히사 후지모토 조 잉그리드 하러 잉게보르가 다포네이트 카와무라 마리아 스즈카 치하루 제14대 달라이 라마 잠양 잠초 왕축 오카노 코스케 사사키 유코 오카노 코스케 페마 라키 락파 참초에 사사키 유코 사토 아이 다나카 아츠코 달라이 라마의 어머니 제춘 페마 이소베 마사코 다츠이 쿠시코 사와다 토시코 장징우 릭 영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4. 제작
영화 제작 과정에서 중국 정부의 압력이 있었다. 중국 정부는 인도 정부에 압력을 가해 촬영장에 대한 전기 공급을 끊겠다고 위협하고, 영화 제작을 위한 은행 계좌 개설을 거부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주요 촬영지는 원래 계획했던 인도의 라다크 지역에서 아르헨티나로 변경되었다.[4]
영화 개봉 후, 장자크 아노 감독은 두 개의 촬영팀이 티베트에서 약 20분 분량의 장면을 비밀리에 촬영했음을 밝혔다. 이 외에도 네팔, 오스트리아, 캐나다 등지에서 촬영이 이루어졌다.[5]
5. 역사적 배경
이 영화는 오스트리아 출신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만,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여러 차이가 있다. 영화의 배경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인 1939년부터 시작된다. 하러는 영국령 인도(현재 파키스탄)의 낭가파르바트 원정 중 전쟁 발발로 영국군에 체포되어 포로수용소에 수감된다. 1944년 탈출하여 티베트로 넘어가 라싸에 정착하게 되고, 어린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가정교사가 되어 서구 문물을 가르치며 우정을 쌓는다.
영화는 하인리히 하러를 나치즘에 비판적인 인물처럼 묘사한다. 예를 들어, 나치당 깃발을 마지못해 들거나, 자신이 "독일 영웅"으로 칭송받을 때 "나는 오스트리아인"이라고 답하는 장면 등이 나온다. 이는 1938년 나치 독일에 합병된 오스트리아의 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인 발언이다.[6] 그러나 실제 하인리히 하러는 1938년 나치당에 가입했으며, 나치 친위대(SS) 하사관 계급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아이거산 북벽 등반 성공을 "우리의 총통에게 이르렀다"고 표현하기도 했다.[7][8] 영화는 이러한 하러의 나치 관련 과거를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영화는 하러와 그의 아들 롤프의 관계를 중요한 극적 요소로 사용하지만, 이는 상당 부분 각색된 내용이다. 하러의 자서전에는 아들과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 없으며, 영화에서처럼 극적인 관계 회복 과정이 묘사되지 않는다.[9] 책에서 하러는 티베트에 머문 이유 중 하나로 자신을 고국과 묶어두는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언급한다.[10]
영화 후반부는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침공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에서는 중국 공산당 협상단이 티베트를 방문하여 모래 만다라를 훼손하고 "종교는 독이다"라고 말하는 등 오만하게 행동하는 장면이 묘사되지만, 이는 역사적 기록이나 하러의 원작에는 없는 허구적 설정이다. 실제 티베트 불교 사원과 문화유산에 대한 대규모 파괴는 주로 이후 문화대혁명(1966–1976) 시기에 자행되었다. 또한 영화는 중국과의 협상 과정이나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공식 즉위 등 주요 사건들의 순서를 실제 역사와 다르게 배열하여 보여준다.[12][10]
이 영화는 개봉 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 중국 정부는 영화가 중국 인민해방군을 잔혹하게 묘사하고 제14대 달라이 라마를 긍정적으로 그렸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20] 이로 인해 영화의 배급사인 소니 픽처스의 모든 영화가 한동안 중국 본토에서 상영 금지되었으며, 감독 장자크 아노와 주연 배우 브래드 피트, 데이비드 듈리스 등은 중국 입국이 금지되기도 했다.[21][22] 소니 측은 이후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고,[4] 감독과 배우들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도 시간이 지나 해제되었다.[23][24][25]
5. 1. 중국의 티베트 침공
1950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새로운 중국 공산당 정부는 티베트를 장악할 계획을 세우고 중국 인민해방군이 티베트를 침공했다. 당시 티베트는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었으나, 중국의 군사적 압박에 직면하게 되었다.티베트의 고위 관료이자 군 지휘관이었던 응아포 응왕 지그메는 국경 도시 창두에서 진격해 오는 중국군을 저지하기 위해 티베트군을 이끌었다. 그러나 압도적인 군사력의 차이로 인해 창두 전투에서 일방적으로 패배하고 결국 항복했다. 영화에서는 그가 항복 과정에서 티베트의 주요 탄약고를 폭파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에 대해 티베트 외교관 쿵고 차총은 하러에게 지그메가 무기 공급을 파괴하지 않았다면, 티베트 게릴라 부대가 산악 지형을 이용해 몇 달 또는 몇 년간 저항하며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할 시간을 벌 수 있었을 것이라고 비판적으로 이야기한다. 그는 또한 티베트 문화에서 항복은 죽음과 같은 치욕으로 여겨진다고 덧붙인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이 진행되면서, 하러는 응왕 지그메가 조국을 배신했다고 강하게 비난하며 그와의 우정을 끝낸다고 선언한다. 그는 지그메가 선물했던 서양식 재킷을 돌려주며 땅에 내팽개치는 등, 티베트 문화에서 매우 심각한 모욕으로 간주되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혐오감과 경멸감을 표현한다.
하러는 14대 달라이 라마에게 탈출을 설득하려 하지만, 젊은 지도자는 위험 속에서도 자신의 백성을 버릴 수 없다며 티베트에 남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대신 달라이 라마는 하러에게 오스트리아로 돌아가 아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라고 격려한다.
영화 속에서는 중국 공산당 협상가들이 티베트를 방문하여 모래 만다라를 훼손하고 "종교는 독이다"라고 말하는 등[11] 오만하고 무례하게 행동하는 장면이 등장하지만, 이는 역사적 기록이나 하러의 원작에는 없는 영화적 각색이다. 실제 티베트 불교 사원과 문화유산에 대한 대규모 파괴는 주로 이후 문화 대혁명(1966–1976) 시기에 자행되었다.
또한 영화는 협상과 달라이 라마의 즉위 순서를 실제 역사와 다르게 묘사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1950년 10월 중국군이 창두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인 1950년 11월 17일에 14대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의 완전한 정치적 권력을 이양받아 공식 지도자로 즉위했다. 그 후 티베트 대표단이 베이징으로 파견되어 1951년, 티베트의 자치권을 크게 제약하는 불평등 조약인 티베트 평화적 해방을 위한 17개 조항 협정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았다.[12] 달라이 라마는 이 협정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잠시 국경 지역으로 피신했다가 라싸로 돌아와 수년간 협정의 틀 내에서 티베트의 자율성을 지키려 노력했다.[10]
5. 2. 티베트의 저항
중국 공산당이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 섬으로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면서, 티베트를 장악하려는 계획을 세우자 중국과의 정치적 관계는 악화되었다. 1950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티베트를 침공했다. 티베트 고위 관료이자 군 사령관인 응아포 응왕 지그메는 티베트군을 이끌고 국경 도시 창두에서 진격해 오는 인민해방군을 저지하려 했으나, 압도적인 군사력 앞에 결국 항복하고 창두 전투 이후 티베트 탄약고를 폭파했다. 이는 티베트의 자체적인 저항 능력을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병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티베트 대표단은 베이징으로 파견되어 중국의 압력 하에 티베트 평화적 해방을 위한 17개 조항 협정에 동의해야 했다.[12] 당시 15세였던 14대 달라이 라마는 1950년 11월 17일 티베트의 정신적, 세속적 지도자로 공식 즉위했으나, 이 협정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10] 그는 수년간 협정의 틀 내에서 활동하려 노력했지만, 중국의 지배는 점차 강화되었다.
이후 중국의 티베트 통치 과정에서, 특히 문화 대혁명(1966–76) 기간 동안 수많은 티베트 불교 사원과 수도원, 불교 경전 등 티베트의 문화유산이 중국 홍위병 등에 의해 대규모로 파괴되었다.
6. 한국판 성우진 (KBS)
- 김승준 - 하인리히 하러(브래드 피트)
- 이재용 - 페터 아우프 쉬나이테르(데이비드 튤리스)
- 소연 - 쿤둔(잠양 잠초 왕축) / 하인리히의 아내(잉게보르가 답쿠나이테)
- 안경진 - 페마 라키(라크파 삼초) / 쿤둔의 어머니(제선 페마) / 라디오 방송
- 이봉준 - 섭정관(대니 덴종파)
- 이호인 - 쿤고(이와마츠 마코) / 영국군 장교(던컨 프레이저)
- 석원희 - 하인라히의 친구(제라도 이버트)
- 이병용 - 중국 대사관(황자강)
- 장민혁 - 나왕(BD 웡)
- 김목용 - 산악 대원(볼프강 토닝거)
- 조규준 - 티벳 총독(체링 왕디)
- 임정길 - 중국 장군(영화용)
- 한복현 - 산악 대원(톰 라우다슐)
7. 평가 및 반응
''티벳에서의 7년''은 1997년 9월 13일 1997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8일 미국과 캐나다에서 상업적으로 개봉했다. 개봉 초기 3개 영화관에서 첫 이틀 동안 4.613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13] 이후 주말에는 상영관을 2,100개로 확대하여 1002만달러의 주말 수익을 기록했다.[14] 최종적으로 미국 내에서 3796만달러, 해외에서 9350만달러의 수익을 거두어 총 1.3146억달러의 흥행 수입을 달성했다.[14]
7. 1. 비평적 평가
로튼 토마토에서는 3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58%의 신선도 평가와 평균 6.2/10점의 평점을 받았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합의 내용은 "『티벳에서의 7년』은 매혹적인 실화를 묵묵한 우아함으로 전달하지만,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15] 메타크리틱에서는 18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55점을 부여하여 "평가가 엇갈리거나 보통" 수준임을 나타냈다.[16] 시네마스코어를 통해 조사된 관객들은 A+부터 F까지의 등급 중 평균 "A-" 등급을 주었다.[17]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영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티벳에서의 7년』은 야심차고 아름다운 영화이며, 끈기 있는 시청자에게 많은 흥미를 주지만, 여행자와 탐험가에 관한 많은 영화들이 저지르는 흔한 실수를 범한다. 그들이 발견한 것보다 그들의 모험에 더 관심이 많다"고 지적했다.[18] 이버트는 영화가 잘못된 인물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했으며, 주연 배우인 피트와 듈리스의 역할이 바뀌었어야 했다고 보았다.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영화의 전반적인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지만, "훌륭한 장소에서 펼쳐지는 광대한 감동적인 드라마의 잠재력을 가진 이야기임에도, 너무 자주 이 영화가 민족지학적이고 올바른 태도에서 벗어나 옛 할리우드 스타일의 드라마로 나아가기를 갈망하게 된다"고 평했다.[19]
7. 2. 중국의 반응
영화가 개봉되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이 영화를 비난했다. 영화 속에서 중국 인민 해방군 장교들이 의도적으로 무례하고 오만하게 묘사되었으며, 현지 티베트인들을 잔혹하게 대하거나 학살한 것처럼 연출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14대 달라이 라마를 긍정적으로 묘사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했다.[20][28] 이로 인해 『티벳에서의 7년』은 중국 본토에서 상영이 금지되는 등 언론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28]중국 정부는 영화 제작사인 소니가 제작한 모든 영화의 상영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이는 중국 시장 개봉 계획이 없는 영화라도 중국 공산당의 심기를 거스르면 해당 스튜디오와 모회사까지 제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21] 이에 소니 측은 중국 영화 제작자들을 자사 시설로 초청하고, 중국의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을 위한 로비를 진행했으며, 임원들이 직접 중국을 방문하여 사과하는 등 중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4]
영화 감독 장자크 아노와 주연 배우 브래드 피트, 데이비드 듈리스는 한동안 중국 입국이 금지되었다.[22][28] 그러나 장자크 아노는 2012년 제15회 상하이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장으로 초청받아 중국을 다시 방문할 수 있게 되었고,[23] 브래드 피트 역시 2014년과 2016년에 중국을 방문했다.[24][25] 2016년 방문은 출연작 홍보를 위한 것이었다.[28]
한편, 영화 촬영 당시 배우와 제작진의 중국 입국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영화의 대부분은 아르헨티나에서 로케이션 촬영되었다. 하지만 영화 개봉 2년 후, 감독 장자크 아노는 일부 제작진이 중국의 실효 지배 하에 있는 티베트에 잠입하여 실제 영상을 촬영했으며, 약 20분 분량의 해당 영상이 영화에 포함되었다고 밝혔다. 일부 영상은 티베트와 인접한 네팔에서 촬영되기도 했다.
7. 3. 수상 내역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55회 골든 글로브상 | 영화 음악상 | 존 윌리엄스 | 후보 |
일본 아카데미상 | 외국어 영화상 | 티벳에서의 7년 | 후보 |
제40회 그래미상 | 비주얼 미디어 사운드트랙상 | 존 윌리엄스 | 후보 |
정치 영화 협회 | 평화상 | 티벳에서의 7년 | 수상 |
폭로상 | 후보 | ||
인권상 | 후보 | ||
독일 예술 영화관 협회 | 외국 영화상 | 장 자크 아노 | 수상 |
스팅커스 최악의 영화상 | 가장 짜증나는 가짜 억양 | 브래드 피트 (데블스 오운도 해당) | 후보 |
렘브란트상 | 남우주연상 | 브래드 피트 | 수상 |
영스타상 | 드라마 영화 부문 최고의 젊은 배우 | 잠양 잠초 왕축 | 후보 |
8. 원작과의 차이점
이 영화는 원작 책과 여러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영화 초반, 1938년 아이거 북벽 등반 후 하러는 "독일 영웅"으로 칭송받자 "고맙습니다만, 저는 오스트리아인입니다."라고 답한다. 오스트리아가 1938년 안슐루스로 독일에 병합된 상황에서 이는 매우 대담한 발언으로 묘사된다.[6] 하지만 원작 책에서 하러는 이러한 언급을 하지 않는다. 또한 기차역 장면에서 하러는 나치당 깃발을 마지못해 들며 나치에 적대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실제 하인리히 하러는 나치당원(당원 번호: 6307081)이었으며, 친위대(SS) 상사(소속: 38부대, 대원 번호: 73896)였다. 그는 안슐루스를 지지했고, 1938년 자신의 저서에서는 "우리는 아이거 북벽을 넘어 정상에 올라 우리의 총통(아돌프 히틀러)에게 이르렀다"고 쓰기도 했다.[7][8] 이러한 하러의 나치 관련 경력은 영화 개봉 당시 사이먼 비젠탈에 의해 폭로되어, 유대인 단체로부터 비판과 상영 반대 운동이 일기도 했다.
영화는 하러와 아들의 관계를 주요 주제로 다루지만, 원작에서 하러는 아내나 아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실제로 그는 결혼과 이혼을 했으나, 전 부인의 새 남편은 전쟁 중 사망했고 아들은 외할머니가 키웠다.[9] 하러는 자서전에서 아들과의 관계를 상세히 다루지만 영화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원작에서 하러가 티베트에 머문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을 고국과 묶어두는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힌다.[10]
영화에 등장하는 중국 공산당 협상단의 침략 전 라싸 방문 장면(비행장 도착, 회담, 모래 만다라 훼손, "종교는 독이다" 발언 등)은 원작이나 역사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오쩌둥이 "종교는 독"이라고 말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1954년 베이징에서 제14대 달라이 라마에게 한 말이었다. 티베트 사원과 경전 파괴는 주로 문화 대혁명(1966-76) 시기에 일어났다. 또한, 라싸 쿵가 공항이 건설된 것은 1956년으로, 그 이전까지 라싸에는 항공 교통이 없었다. 1954년 달라이 라마가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도 도로를 이용했다.[11]
중국과의 협상과 달라이 라마의 통치자 즉위 순서도 영화에서는 뒤바뀌어 묘사되었다. 실제로는 1950년 10월 중국 인민해방군이 진사강을 건너 티베트군을 격파한 후,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1950년 11월 17일에 티베트의 세속 지도자로 즉위했다. 이후 티베트 대표단이 베이징으로 파견되어 티베트 평화적 해방을 위한 17개 조항 협정에 서명하게 되었다.[12] 달라이 라마는 이 협정에 반대하여 잠시 시킴 국경 근처로 망명했다가 라싸로 돌아와 협정의 틀 내에서 활동하려 노력했다.[10]
영화에서 달라이 라마의 어머니 역은 실제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여동생인 제춘 페마가 연기했다.
9. 관련 사항
영화 『티벳에서의 7년』 공개 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영화 속 중국 인민 해방군 장교가 의도적으로 무례하고 오만한 인물로 묘사되었으며, 중국 인민 해방군 병사가 티베트인을 학살한 것처럼 연출되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로 인해 『티벳에서의 7년』은 중국에서 상영이 금지되는 언론 통제를 겪었다. 또한 영화 감독 장자크 아노 및 주연 배우 브래드 피트와 데이비드 슐리스는 중화인민공화국 실효 지배 지역으로의 무기한 출입이 금지되었으나, 브래드 피트는 2016년 11월 출연작 홍보를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28]
중국 입국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영화의 대부분은 아르헨티나에서 로케이션 촬영되었다. 그러나 영화 공개 2년 후, 감독 장자크 아노는 두 명의 제작진이 중국 지배 하의 티베트에 잠입하여 일부 영상을 촬영했음을 밝혔다. 중국 정부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장자크 아노는 영화에 약 20분 분량의 티베트 현지 촬영 영상을 추가했다. 또한, 일부 영상은 티베트 인근 네팔에서 촬영되었다.
한편, 영화가 개봉된 1997년은 홍콩 반환이 이루어진 해였으며, 달라이 라마 14세의 전기 영화인 『쿤둔』 역시 같은 해에 개봉되었다.
- 달라이 라마 14세
- 티베트
- 역사 영화
- 티베트 봉기 (1959년)
- 2008년 티베트 봉기
참조
[1]
웹사이트
Mandalay on road with Summit
https://variety.com/[...]
2001-12-17
[2]
웹사이트
"''SEVEN YEARS IN TIBET'' (PG)"
https://bbfc.co.uk/r[...]
1997-10-21
[3]
웹사이트
Seven Years in Tibet (1997) - Overview - TCM.com
http://www.tcm.com/t[...]
[4]
서적
Red carpet : Hollywood, China, and the global battle for cultural supremacy
https://www.worldcat[...]
2022
[5]
뉴스
Director Secretly Filmed In Tibet
http://www.tibet.ca/[...]
Canada Tibet Committee
1999-06-10
[6]
문서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7]
뉴스
Dalai Lama's Tutor, Portrayed by Brad Pitt, Wasn't Just Roving Through the Himalayas
https://www.nytimes.[...]
1997-06-21
[8]
웹사이트
Alpine club examines historical ties to Nazis | Germany| News and in-depth reporting from Berlin and beyond | DW | 02.09.2012
https://www.dw.com/e[...]
[9]
문서
Beyond Seven Years in Tibet
[10]
문서
Seven Years in Tibet
[11]
문서
Freedom in Exile
Hodder & Stoughton
1990
[12]
문서
The Dragon In The Land Of Snow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13]
간행물
B.O. puckers up to 'Kiss,' 'U-Turn' off
1997-10-13
[14]
웹사이트
Seven Years in Tibet (1997)
https://boxofficemoj[...]
IMDb
[15]
웹사이트
Seven Years in Tibet (1997)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16]
웹사이트
Seven Years in Tibet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17]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18]
뉴스
Seven Years in Tibet :: rogerebert.com :: Reviews
https://www.rogerebe[...]
1997-10-10
[19]
뉴스
Variety Reviews - Seven Years in Tibet - Film Reviews -- Review by Derek Elley
https://www.variety.[...]
1997-09-27
[20]
웹사이트
Hollywood's New China Syndrome (The Los Angeles Times) 'Red Corner,' 'Seven Years in Tibet' and 'Kundun' take the country's human rights record to task, especially regarding its treatment of Tibet. How will the Chinese react to filmdom's scrutiny?
http://www.tibet.ca/[...]
Canada Tibet Committee
[21]
뉴스
Hollywood relies on China to stay afloat. What does that mean for movies?
https://www.npr.org/[...]
2022-02-21
[22]
웹사이트
Filmmaker Jean-Jacques Annaud goes from outcast to ally in China
https://www.latimes.[...]
2015-03-05
[23]
뉴스
Shanghai Film Fest: Q&A with director Jean-Jacques Annaud
http://latimesblogs.[...]
2012-06-15
[24]
웹사이트
Brad Pitt breaks the ice with China visit after 'Seven Years in Tibet' issue
https://www.rappler.[...]
2014-06-03
[25]
웹사이트
Brad Pitt Back in China After Reported Ban Over Tibet Film
https://www.voanews.[...]
2016-11-14
[26]
문서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012
[27]
문서
Comparisons between the film and the book
[28]
뉴스
中国当局の“封殺”やっと解けた?ブラッド・ピットが最新作PR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